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on Internet Addiction Level, Anxiety, and Stress in College Students with Internet Addic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on internet addiction level, anxiety, and stress in college students with internet addiction. Twenty-four participants among five hundred and fifteen ‘C’ university students met for internet addiction.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MBCT program group (n=12) and the control group (n=12).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Internet addiction scale (A-scale), State anxiety inventory (SAI), Daily hassles scale (DHS) at pretreatment, at the end of treatment, and at 4 weeks follow-up. The MBC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10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ternet addiction level, anxiety level and stress level in the therapy group were decreased mor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also discussed.

keywords
MBCT 프로그램, 인터넷 중독, 불안, 스트레스, MBCT, Internet addiction, Anxiety, Stress

Reference

1.

강희양, 손정락 (2008).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게임중독에 대한 사회적 자기조절모형 탐색및 자존감향상 인지행동치료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1), 143-159.

2.

고유진 (2001). 인터넷 중독 집단의 성격 특성 및 자기개념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권영주 (2008). 마음챙김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전문계 여고생의 정서 조절과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권정혜 (2000). 감각추구성향,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2000년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70-271.

5.

기현정 (2011).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성연 (2007). 인터넷 중독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단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7.

김정모, 전미애 (2009).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일반 대학생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741 -759.

8.

김정모, 전미애, 박성현 (2006). 마음챙김 명상과 심리치료: 마음챙김명상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 수형자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2006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94-95.

9.

김정택 (1987).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정호 (2004). 마음챙김명상의 유형과 인지행동치료적 함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4 (2), 27-44.

11.

김정희 (1995). 스트레스 평가와 대처의 정서적 경험에 대한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7(1), 44-69.

12.

김주연 (2006). 대학생의 인터넷 사용 실태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연구. 한국교정복지학회, 5, 149-213.

13.

김헌수, 이 난 (2005). 청소년의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정서상태 및 인터넷 중독의 관계. 원광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6. 1-20.

14.

디지털데일리 (2010). NIA, ‘인터넷중독 해소 방안’ 보고서 발간. 2010, 7, 27.

15.

류인균, 하지현, 양은주, 김영미, 장창곡, 우종인 (2000). 인터넷 중독의 정신병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9(1), 16-26.

16.

류려선 (2006). 마음챙김명상이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맹미희 (2003). 스트레스, 자기통제력, 충동성, 자아존중감과 인터넷 중독의 상관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배재홍 (2007).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배재홍, 장현갑 (2006).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673-688.

20.

서승연 (2001). 일상적 스트레스, 몰두 성향, 사회적 지지와 병리적인 인터넷 사용.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서종철 (2008). 인지행동집단상담이 인터넷 과다사용 아동의 변화동기에 따라 인터넷과 다사용 감소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선필호 (2003).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송남옥 (2004).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과 인터넷 사용 수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오원이, 이순묵, 반재천, 이형초, 최윤경, 이순영 (2005). 성인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5.

오은정 (2009). 마음챙김 명상의 인지과학적 해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유승연 (2010). 마음챙김 명상이 화병 증상과 우울, 불안,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순묵, 반재천, 이형초, 최윤경, 이순영 (2005). 기억의 뇌기전과 정신과학. 신경정신의학, 37(1), 14-37.

28.

이우경 (2007).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 구조 분석과 마음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유라 (2006). 인지 행동 치료가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 부정적 자동 사고 및 자기 도피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이정민 (2010).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과 부정적 정서, 상위인지, 상위-기분간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이정화 (2005). 인지행동 집단치료가 게임중독 고등학생들의 게임중독 수준, 자기통제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이지선, 김정호, 김미리혜 (2004). 마음챙김명상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여자중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1027-1040.

33.

이혜진 (2004).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임은미, 박승민, 장선숙 (2006). 성인 인터넷중독 상담 프로그램 개발연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35.

장현갑 (2004).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 (2), 471-492.

36.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10). 2009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37.

한국청소년개발원 (2005). 청소년 정보화 정책 개선방안 연구. 한국 청소년 개발원.

38.

한진숙, 김정호, 김미리혜 (2004). 마음챙김 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들의 증상과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1041-1060.

39.

황상민, 황희영, 이수진(2001), 인터넷 중독 현황 및 실태조사. 한국정보문화센터.

40.

Davis, R. A. (2001).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7, 187-195.

41.

DeLongis, A., Coyne, J. C., Dakof, G., Folkman, S., & Lazarus, R. S. (1982). Relationship of daily hassles, uplifts, and major life event s to health status. Health Psychology, 1, 119- 136.

42.

Goldberg, I. (1996). Internet addiction disorder. www. urz. uni-heidelberg. de/ Netzdienste/ anleitung/ wwwtips/ 8/ accdict. html.

43.

Ortner, C. N. M., Kilner, S. J., & Zelazo, P. D. (2007). Mindfulness meditation and reduced emotional interference on a cognitive task. Motivation and Emotion, 31, 271-283.

44.

Raja, R. (2005). A study of vipassana meditation on adolescent behaviour pattern. Journal of Indian Psychology. 23(1), 12-24.

45.

Segal, Z. V., Williams, J. M. G., & Teasdale, J. D. (2006).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 우울증 재발 방지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A new approach to preventing relapse]. (이우경, 조선미, 황태연 역). 서 울: 학지사. (원전은 2002년에 출판)

46.

Shapira, N. A., Lessing, M, C., Goldsmith, T. D., Sazbo, S. T., Lazortiz, M., Gold, M. S., & Stein, D. J. (2003). Problematic internet use: Proposed classification and diagnostic creteria. Depression and Anxieth, 17, 207-216.

47.

Spielberger, C. (1972).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Academic Press.

48.

Young, K. S. & Rogers, R. C.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 25 -28.

49.

Young, K. S. (1999). Internet addiction symptoms, evaluation, and treatment. In L. VandeCreek & T. Jackson(Eds.) Innovations in Clinical Practice: A source Book, 17, p. XXX. Sarasota, FL: Professional Resource Pres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