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Effects of Dialectical Behavioral Therapy(DBT) Skills Training on Aggression, Self-Esteem, and Anger Expression of Adolescents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Dialectical Behavioral Therapy(DBT) Skills Training on Aggression, Self-Esteem, and Anger Expression in adolescents. Three hundred middle school adolescents in Chonbuk province completed the Aggression Scale, Self-Esteem Scale and Anger Expression Scale. Eighteen adolescents selected by those scale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a DBT Skills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 (nine each). The DBT Skills training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nine sessions. Aggression in the DBT skills training group decreased more than in the control group, while Self-Esteem increased in the DBT skills training group more than in the control group, Anger Express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공격성, 자아존중감, 분노표현양식, 변증법적 행동치료 기술훈련, Aggression, Self-Esteem, Anger Expression and Dialectical Behavioral Therapy(DBT) Skills Training

Reference

1.

강신덕 (1997). 비행청소년 분노조절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5(1), 81-143.

2.

곽재용 (2005). 마음수련을 통한 초등학생의 인성지도. 초등교육연구, 15, 151-225.

3.

권수진 (2010). 명상이 성인의 스트레스, 정서 및 분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권재훈 (2011). 일반 및 보호관찰 청소년의 공격성이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경유 (2007), 마음공부가 초등학생의 메타기분과 자아개념에 주는 영향.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광웅 (2007). 자아존중감 및 자기수용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83-999.

7.

김교헌, 전겸구 (1997). 분노, 적대감 및 스트레스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79-95.

8.

김미림, 홍혜영 (2013). 중학생의 수치심 경향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135-156.

9.

김성희 (1982).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주장훈련의 효과. 학생지도연구, 15(2), 1-29.

10.

김영임, 이윤주 (2008). TA집단상담프로그램이 전문계고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 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11(1), 13-27.

11.

김은임 (2011).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능력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주현 (2008). 정서 조절 방식 및 지각된 세력이 분노 정서 조절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준범 (2012).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이 특성분노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의 중재효과.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효정 (1999). 청소년의 공격성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남영옥, 김정남 (2010). 청소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2(2), 123-141.

16.

노안영 (1983). 비행청소년에 있어서 공격성과 불안 감소에 미치는 주장훈련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라정숙 (2009). 정서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격성이 높은 중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문재경 (1998). 인지적 행동수정훈련이 아동의 공격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민경환, 김지현, 장승민, 윤석빈 (2000). 부정적 정서 조절 방략에 관란 연구: 정서 종류와 개인 변인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2), 1-16.

20.

박현선, 김유경 (1997). 가족관계와 청소년 비행: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32, 113-135.

21.

박형원 (2002). 공격적인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접근의 교육적 활용. 연세교육연구, 15(1), 37-54.

22.

반만점 (1993). 주장훈련이 자기표현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반지정 (2010).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이 있는 아동의 분노통제능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백승혜 (2008).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및 분노표현양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4), 1001-1007.

25.

서수균, 권석만 (2002). 자존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809-826.

26.

서지영 (1996). 특성분노의 반응양식과 이에 영향을 주는 변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손지영 (2003). 공격신념과 정서조절능력이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정보처리과정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11(2), 96-110.

28.

안소영 (2013). 마음챙김 수준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신념과 이차적 분노사고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몬.

29.

안신호, 박미영 (2005). 자존감 결정요진: 영역별 능력과 자기수용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4(1), 109-140.

30.

안영순 (2007). 특성분노, 분노표현 양식 및 갈등관리 유형이 문제행동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양동명 (2012). 마음챙김 명상이 신세대 병사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몬.

32.

오현숙 (2000).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존중감 및 공격성의 관계.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유금란 (1999).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잠재비행의 관계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유수정 (2011). 아동․청소년의 공격성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이석형 (2006). 청소년비행 예방을 위한 보호요인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6.

이세연 (2007). 청소년의 자기애 및 자아존중갑과 공격성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이장호, 한덕웅, 전겸구 (1998).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 대학생 집단.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3(1), 18-32.

38.

임미옥, 송민경, 김청송 (2012).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과 심리적 부적응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재모형 연구. 청소년학연구, 19(4), 247-270.

39.

임소영 (2000). 비행청소년을 위한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장정화 (2009). 마음챙김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전미애, 김정모 (2011).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MBCT)가 청소년 수형자의 공격성과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 63-78.

42.

전병제 (1974). 자아개념 측정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총론, 11(1), 107-130.

43.

주은희 (2002). 학교폭력의 실태분석과 대책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최경숙. (2003). 마음수련 훈련이 신경증적 중학생의 분노와 불안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최치정 (2006). 명상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분노와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임능빈 (1995). 동양사상과 심리학. 서울: 성원사.

47.

한세리 (2007). 남녀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학생의 공격성 및 학교폭력 경험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Baer, R A. (2006). Mindfulness-based treatment approaches: Clinician's guide to evidence base and applications. San Diego, CA, US: Elsevier Academic Press.

49.

Bohus, M., Haaf, B., Stiglmayr, C., Pohl, U., Bohme, R., & Linehan, M. (2000). Evaluation of inpatient Dialectical Behavioral Therapy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Ð a prospective stud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8(9), 875-887.

50.

Buss, A. H & Durkee, A. (1957). An inventory for assessing different kinds of hostility.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1(4), 343-349.

51.

Carver, C. S., Scheier, M. F., & Weintraub, J. K. (1989). Assessing coping strategies: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2), 267-283.

52.

Koons, R., Robins, J., Tweed, L., Lynch, R., Gonzalez, M., Morse, Q., Bishop, K., Butterfield, I., & Bastian, A. (2001). Efficacy of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in women veteran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ehavior Therapy, 32(2), 371-390.

53.

Linehan, M. M. (1993a).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for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mplications for the trearment of substance abuse [Monograph]. National institute for Drug Abuse Research Monographs, 137, 201-216.

54.

Linehan, M. M. (1993b).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York: Guilford.

55.

Linehan, M. M. (1993c). Skills Training Manual for Treat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York: Guilford.

56.

Linehan, M. M., Heard, H. L., & Armstrong, H. E. (1993). Naturalistic follow-up of a behavioral treatment for chronically parasuicidal borderline patient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0(12), 971-974.

57.

Linehan, M. M., Tutek, D. A., Heard, H. L., & Armstrong, H. E. (1994). Interpersonal outcome of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for chronically suicidal borderlin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1(12), 1771-1776.

58.

Marra, T. (2005).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in private practice: A Practical and comprehensive guide. Okaland, CA: New Harbinger Publications.

59.

Nelson-Gray, R., Keane, S., Hurst, R., & Mitchell, J. (2006). A modified DBT skills training program for oppositional defiant adolescents: promising preliminary finding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4, 1811-1820.

60.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61.

Spielberger, C, D., Jacob, G. A., Russell, S., & Crane, R. S. (1983). Assessment of anger: The State-Trait Anger Scale.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2, 159-187.

62.

Trupin, E. W., Stewart, D. G., Beach, B., & Boesky, L. (2002). Effectiveness of a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program for incarcerated female juvenile offenders. Jounal of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7(3), 121-12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