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Development of the Korean Cyber Pornography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Male Adolescent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for measurement of cyber pornography addiction of male adolescents and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For this, in Study 1 158 preliminary items wereformulated from previous studies and scraps of paper articles and then 38 items were selected through testing of content validity of expert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6 preliminary items with high factor loading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four factors (disturbance in daily living, increase of impulsiveness and accessibility, withdrawal, tolerance). In Study 2,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mong 274 male students in order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formulated in Study 1. As a consequence, four items related to factor of increase of impulsiveness and accessibility lacked consistency due to being mixed with factors with low loading, and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Thus, the final scale comprised three factors (disturbance in daily living, withdrawal, tolerance) with a total of 12 items. Criterion-related validity test used the following measures: Young's Cybersexual Addiction Index (CAI); Rape myth acceptance level, which was modified and adapted by Lee Suk-jae (1999) from Burt's Rape Myth Acceptance scale (1980), and a new common notion of rape wasadded;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short form (KS Scale) developed by the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Correlation incorporating internet self-efficacy of Park Yun-joung (2009).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Young's cybersexual addiction Index (r=.75), rape myth acceptance level (r=.49) and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short form (r=.42), while there was low correlation with internet self-efficacy (r=.13). This may indicate that the scale had appropriat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Reliability of the scale for cyber pornography addiction by sub-item was .81∼.83, while that for the whole scale was .90, showing high internal consistency. In addition Guttman split-half coefficient was .85, with re-retest reliability of .88, evidencing high reliability in general as well. In the last part of this study, its limits along with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keywords
Cyber pornography addiction, adolescents, Development of scale, 사이버 음란물, 청소년, 척도 개발

Reference

1.

구자현 (2010). 청소년들의 사이버 음란물 접촉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경희 (1996). 음란물이 청소년의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 경북 상주 지역 중, 고 남학생을 대상으로. 대구 효성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 민, 곽재분 (2011). 디지털미디어시대 청소년 사이버섹스중독. 순천향인문과학논총, 29, 283-326.

4.

김 민 (2003).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과 사이버섹스 중독실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5(1), 53-83.

5.

김상원 (1999). 성교육/성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출판사.

6.

김성숙, 구현영 (2007). 청소년의 사이버섹스 중독과 인터넷 중독 및 성태도의 관계. 상담학연구, 8(3), 1137-1149.

7.

김정규 (2012). 인터넷 음란물 접촉의 요인과 청소년의 섹슈얼리티. 사회과학연구, 24(1), 1-33.

8.

남영옥 (2004). 청소년의 사이버섹스 중독과 성비행의 심리사회적 변인. 청소년학연구, 11(1), 167-192.

9.

뉴시스 (2008. 5. 1). 대구 초등생 집단 성폭력 음란물에 무방비로 노출된 청소년들.

10.

박윤정 (2009).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인터넷 정보격차에 관계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백혜정, 김은정 (2008). 청소년 성의식 및 행동 실태와 대처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2.

심재웅 (2010). 청소년들의 음란물 노출시기가 음란물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젠더 & 문화 16, 77-104.

13.

양돈규 (2000).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과 인터넷 중독 경향 및 인터넷 관련 비행간의 상관성. 청소년학연구, 7(2). 117-136.

14.

양돈규, 조남근 (2004). 인터넷음란물 접촉경험과 성비행간의 관계. 중등교육연구, 52(1), 325-347.

15.

어기준 (2002). 청소년 음란물 중독의 원인과 대책. 청소년 관련 음란물의 실태와 대책. 제27회 21세기 청소년포럼, 한국청소년학회, 33-48.

16.

오 선 (2004). 인터넷 음란물 중독과 청소년의 성태도 및 불안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온라인 중앙일보 (2012. 07. 30). 음란물본청소년 5% “성추행ㆍ성폭행충동느낀다”

18.

유영달 (2002). 인터넷 중독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우울, 충동성의 차이.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윤명숙 (2011). 청소년의 성의식․성태도․성행동이 사이버섹스 중독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건호, 강혜자 (2005). 강간통념 수용도, 성역할 태도 및 음란물 접촉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3), 23-40.

21.

이상준 (2003). 인터넷 중독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정신건강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5, 341-364.

22.

이석재 (1999). 강간통념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 131-148.

23.

조남근, 양돈규 (2001).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인터넷 중독경향 및 인터넷관련 비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1). 91-111.

24.

지영단 (2001). 음란물 접촉과 강간통념 수용도간의 관계: 매개변인과 조정변인의 역할.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진인영 (2005). 사이버섹스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채규만 (2003). 디지털 시대의 인간 심리와 문제점. 인간과학연구, 183-207.

27.

최미라 (2006).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인터넷 음란물 중독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0). 사이버범죄에 관한 연구.

29.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30.

Burt, M. R. (1980). Cultural myths and supports for ra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8, 217-230.

31.

Cowan, G. and R. Campbell. (1994). Racism and sexism in interracial pornography.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18, 323-338.

32.

Fisher, D., D. Hill, J. Brube, M. Bersamin, S. Walker and E. Gruber. (2009). Teleivised sexual content and parental mediation: Influences on adolescent sexuality. Media Psychology 12(2), 121-147.

33.

MacCallum, R. C., Browne, M. W., & Sugawara, H. M. (1996).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1, 130-149.

34.

McKee, A. (2005). The objectification of women in mainstream pornographic videos in Australia. Journal of Sex Research 42(4), 277-290.

35.

Tsitsika, A., E. Crirtselis, G. Kormas, E. Konstantoulaki, A. Constantopoulos and D. Kafetzis. (2009). Adolescent pornographic internet site use: A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of the predictive factors of use and psychosocial implications. CyberPsychology & Behavior 12(5), 545-550.

36.

Young, K. S. (2002). Getting web sober: Help for cybersex addicts and their loved one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