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fli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Parents and University Student Children

Abstrac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parents and university student children. A total of 218 Korean middle-aged parents between 40 and 59 years of age and 291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flicts perceived by the middle-aged parents as conflict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university students were children's self-car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except parent-child. Second, the conflicts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with their middle-aged parents were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parents' demanding and interference, parents' lives, and ot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inally, gender differences are discussed.

keywords
Middle Age, Parents-Children Conflict, Conflict with University Student Children, Exploratory Research, 중년기, 부모-자녀 갈등, 대학생 자녀 갈등, 탐색적 연구

Reference

1.

강석화, 나동석 (2013). 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4), 49-71.

2.

고기숙, 이혁구 (2004). 중년기 직장 남성의 사회적 위기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환경 특성 및 자원봉사 경험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3, 9-41.

3.

고병인 (1996). 청소년과 중년기: 스트레스와갈등의 온상. 교수논총, 8, 297-322.

4.

구본용, 신현숙, 유제민 (2002).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중퇴 모형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0(2), 35-57.

5.

노윤옥, 전미경 (2006).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1), 1-15.

6.

김경숙 (1987). 부모와 청소년 자녀 사이의 갈등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논문집, 15(2), 9-39.

7.

김명자 (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관한 연구: 서울시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명자 (1991). 중년기 부부의 가족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과 위기감. 대한가정학회지, 29(1), 203-216.

9.

김명자 (1992). 중년기 연구. 서울: 교문사.

10.

김수연 (1996). 어머니-청소년 자녀간의 갈등에관련된 변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애순 (1993). 중년기 위기감(3): 개방성향과직업, 결혼, 자녀관계가 중년기 위기감에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3(2), 1-14.

12.

김애순, 윤 진 (1993). 중년기의 위기: 중년기위기감: 그 시기확인 및 개방성향과 직업, 결혼, 자녀 관계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993, 247-260.

13.

김정진 (2009).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연구: 자살시도경혐, 정신건강, 심리사회적 문제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2, 413-437.

14.

김종숙 (2004). 한국사회의 부모와 청소년 자녀 세대 간의 갈등 요인에 관한 연구. 논문집, 22, 15-24.

15.

김지연, 오경자 (2011). 부모의 과보호가 성인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0(3), 647-661.

16.

김헌수, 김현실 (2002). 한국청소년 음주 및 약물남용과 비행행동간의 상관관계. 신경정신의학, 41(3), 472-485.

17.

김혜진 (2003). 부부갈등과 부모-자녀관계 및 아동의 학교적응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영신, 김의철 (2000). 부모-자녀관계 변화가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38(2), 109-147.

19.

박준희 (2004). 기혼남녀의 성격특성, 가족관계스트레스, 여가활동이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백미숙 (200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갈등.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서수균, 이윤희, 안정신, 정영숙 (2013). 한국노인이 지각한 부부 및 성인자녀 갈등에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2), 389-412.

22.

서진숙, 이정애, 박소현 (1992). 여자대학생과부모의 갈등양상에 대하여. 심리연구, 30, 67-76.

23.

신기영, 옥선화 (1991). 중년기 주부의 위기감과 사회관계망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161-178.

24.

신효식, 이경주 (2001). 청소년자녀의 부모와의 갈등과 갈등표출방식. 대한가정학회지, 39(1), 29-38.

25.

오영희 (2003). 여대생의 부모-자녀 갈등경험과정신건강과의 관계. 학생생활연구, 19, 23-35.

26.

오영희 (2004). 대학생의 부모-자녀 갈등경험, 용서, 정신건강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3), 59-77.

27.

유수남 (1980). 어머니의 직업유무 및 가정환경과 아동의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경순, 서경현 (2011).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부모와의 갈등과 주관적 웰빙:원한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건강, 16(3), 595-608.

29.

이기웅 (2002). 부모-자녀관계의 갈등해결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모형 개발.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영미, 한재희 (2013). 모가 지각한 부모기대로 인한 부모-자녀 간 갈등극복경험. 상담학연구, 14(2), 1401-1422.

31.

이원희 (1992). 한국 중년 여성이 경험하는 갈등과 대응양상. 성인간호학회지, 4(2), 136-146.

32.

이은아 (2007). 생태체계 변인과 중년기 남성의심리적 적응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33.

이은아, 정혜정 (2007). 중년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 관련된 개인 및 가족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301-329.

34.

이주옥 (1993). 청소년 자녀와 부모의 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갈등의 유형, 해석 및 그 해결방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이지선 (2009). 부모-자녀 갈등과 공감이 용서및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향련 (1986). 사춘기 자녀와 부모와의 대화활동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37.

장휘숙 (1999). 대학생과 중, 고등학교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가족 및 교수(교사)와의 갈등 상황. 학생생활연구소, 26, 1-18.

38.

전상진, 정주훈 (2006). 한국 후기 청소년 세대의 발달경로와 성장유형. 한국사회학, 40(6), 261-285.

39.

정상미 (2013). 청소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중년기 부부의 직업, 부모자녀관계, 부부관계 변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정준기 (1986). 부모-자녀 간 갈등 및 역할기대에 관한 실태연구. 공주사범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정태연 (2001). 대학생 자녀와 그 부모가 평가한 세대 간 차이점과 유사점.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7(2), 1-19.

42.

정현숙 (2009). 부모-대학생 세대 간 갈등 사례연구: 실제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둔 다차원적 접근법을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1, 7-46.

43.

조윤주 (2002). 대학생의 부모와의 애착, 갈등및 부양 의무감과 부모 부양 의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지승희, 오혜영 (2013). 상담 분야의 CQR 연구 동향: 2001∼2010년 상담관련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4), 2327-2349.

45.

최상진 (2000). 한국인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출판부.

46.

최상진, 김혜숙, 유승엽 (1994). 부자유친 성정과 자녀에 대한 영향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994, 65-82.

47.

최인재 (2006). 한국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문화심리학적 고찰. 상담학연구, 7(3), 761-773.

48.

최인재 (2007).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분화 및 우울과 불안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3), 611-628.

49.

한남제 (1984). 한국도시가족연구. 서울: 일지사.

50.

한미선 (1992). 중년기 부인의 자녀문제로 인한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황매향, 조효진, 조윤진, 방지원 (2013). 대학생의 일의 의미와 진로 결정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 일반, 32(3), 675-699.

52.

Alessandri, S. M., & Wozniak, R. H. (1987). The child's awareness of parental beliefs concerning the child: A developmental study. Child Development, 58(2), 316-323.

53.

Ary, D. V., Duncan, T. E., Biglan, A., Metzler, C. W., Noell, J. W., & Smolkowski, K.(1999). Development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7(2), 141-150.

54.

Bengtson, V. L., & Kuypers, J. A. (1971). Generational difference and the developmental stak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2(4), 249-260.

55.

Chiu, H. T., Jackson, J. L., Liu, J., & Hill, C. E.(2012). Annotated bibliography of studies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In C. E. Hill (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 (pp. 213-266).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6.

Donald, M., Dower, J., Correa-Velez, I., & Jones, M. (2006).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medically serious suicide attempts: a comparison of hospital.based with population .based samples of young adult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0(1), 87-96.

57.

Douvan, E. A. M., & Adelson, J. (1966). The adolescent experience. New York: Wiley.

58.

Dubas, J. S., & Peterson, A. C. (1996). Geographical distance from parents and adjustment during adolescent and young adulthood. In J. A. Graber & J. S. Dubas (Eds.),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71, 3-19.

59.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y, 25, 517-572.

60.

Hill, J. P., & Holmbeck, G. N. (1986). Attachment and autonomy during adolescence. Annals of Child Development, 3(45), 145-189.

61.

Montemayor, R. (1982).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nflict and the amount of time adolescents spend alone and with parents and peers. Child Development, 53, 1512-1519.

62.

O'Connor, T. G., Allen, J. P., Bell, K. L., & Hauser, S. T. (1996). Adolescent.parent relationships and leaving home in young adulthood.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71, 39-52.

63.

Shaver, P., Furman, W., & Buhrmester, D. (1985). Transition to college: Network changes, social skills, and loneliness. In S. Duck & D. Perlman (Eds), Understanding personal relationship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Newbury Park, CA: Sage.

64.

Smetana, J. G. (1989). Adolescents' and parents'reasoning about actual family conflict. Child Development, 60, 1052-1067.

65.

Steinberg, L. D. (1981). Transformations in family relations at puberty. Developmental Psychology, 17(6), 833-840.

66.

Steinberg, L. D., & Hill, J. P. (1978). Patterns of family interaction as a function of age, the onset of puberty, and formal thinking. Developmental Psychology, 14(6), 683-684.

67.

Sullivan, K., & Sullivan, A. (1980). Adolescentparent separation. Development Psychology, 16(2), 93-99.

68.

Wagner, C. C., Kiesler, D. J., & Schmidt, J. A.(1995). Assessing the interpersonal transaction cycle: Convergence of action and reaction interpersonal circumplex meas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5), 938.

69.

Warrick-Swansen, S. A. (1999). Risk factors of comorbidity between aggressive behaviors and depressive disorders in school-aged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Iowa State University

logo